화이자의 주가가 연일 하락하고 있는 현재, 저는 차트를 확인해보니 기회일 수 있다고 판단되었습니다. 바이오 기업은 당연하게도 연구개발 이슈가 가장 클 것 일텐데요, 그리하여 화이자 R&D, 연구개발 관련하여 스터디 해보았습니다. 그럼 시작해보겠습니다.
화이자는 연구개발(R&D)에 매출의 약 17%를 재투자하며, 다양한 치료 분야에서 신약 개발과 혁신적인 기술 도입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주요 연구 분야는 다음과 같습니다.

화이자의 주요 연구 분야
1. 항암제
- 면역항암제:
- 화이자는 면역체계를 활용해 암세포를 공격하는 면역항암제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 현재 진행 중인 연구: PD-1/PD-L1 억제제, 차세대 면역항암 백신.
- 유전자 기반 치료제:
- 유전자 치료 기술을 활용한 암 치료제 개발.
2. 희귀 질환
- 화이자는 희귀 질환 치료제 개발에서 선도적인 위치를 점하고 있으며, 현재 유전자 치료제를 포함한 다양한 파이프라인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 연구 분야:
- 혈우병, 근육 위축증, 희귀 대사 질환.
3. 감염 질환
- 차세대 mRNA 백신:
- 코로나19 백신 성공 이후, mRNA 기술을 활용한 인플루엔자, RSV(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 백신 개발.
- 항생제 및 항바이러스제:
- 새로운 감염병 및 내성균 치료제를 목표로 한 연구 진행.
4. 만성질환
- 심혈관계 약물:
- 주요 블록버스터 약물인 Eliquis의 특허 만료에 대응하기 위해 새로운 항응고제와 심혈관 치료제를 연구 중.
- 염증 및 면역질환:
- 류마티스 관절염, 크론병 등 만성 염증 질환 치료제 개발.
특허 만료에 대한 대응 전략
화이자는 주요 블록버스터 의약품(Ibrance, Xeljanz, Eliquis 등)의 특허 만료로 인해 발생할 매출 감소를 대비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전략을 실행 중입니다.
1. 신약 개발 가속화
- 화이자는 특허 만료로 인한 매출 공백을 메우기 위해 약 90개의 파이프라인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 특히, 항암제와 희귀 질환 치료제와 같은 고부가가치 의약품에 집중.
2. 인수합병(M&A)
- 화이자는 주요 바이오테크 기업을 인수하며 파이프라인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 대표 사례:
- Seagen 인수를 통해 항암제 포트폴리오를 강화.
- Array BioPharma 인수를 통해 항암제와 희귀 질환 치료제 확장.
3. 특허 연장 및 제네릭 방어
- 기존 특허를 연장하기 위해 새로운 제형 개발과 추가 적응증 확대를 추진.
- 제네릭 의약품과의 경쟁을 줄이기 위해 특허 소송 및 시장 독점 전략을 병행.
4. 신흥 시장 공략
- 미국과 유럽 외 신흥 시장에서 매출 성장을 도모.
- 인도, 중국 등 신흥 시장에서 mRNA 백신과 고부가가치 의약품의 점유율 확대.
씨젠(Seagen) 인수를 통해 기대할 수 있는 내용
화이자는 2023년 3월, 약 430억 달러에 항암제 전문 바이오테크 기업인 씨젠(Seagen)을 인수하며 항암제 포트폴리오를 대폭 강화했습니다. 이 인수는 화이자의 항암제 전략에서 중요한 전환점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1. 항암제 포트폴리오 강화
- 씨젠은 항체약물접합체(ADC, Antibody-Drug Conjugate) 기술의 선도 기업으로, 이 기술은 특정 암세포를 표적으로 하여 약물을 전달하는 혁신적인 치료법입니다.
- 주요 제품:
- Adcetris: 림프종 치료제.
- Padcev: 방광암 치료제.
- Tukysa: 유방암 치료제.
- 화이자는 씨젠의 기술과 기존 항암제 라인을 결합해 새로운 시너지를 창출할 수 있습니다.
2. 시장 점유율 확대
- 항암제는 글로벌 제약 시장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분야 중 하나입니다.
- 화이자는 씨젠 인수를 통해 항암제 시장 점유율을 대폭 확대할 수 있습니다.
- 글로벌 항암제 시장은 2030년까지 연평균 약 9%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3. R&D 역량 강화
- 씨젠의 혁신적인 항암제 개발 기술을 화이자의 연구개발 플랫폼에 통합해 신약 개발 속도를 가속화할 수 있습니다.
- 화이자는 씨젠과 함께 새로운 항암제 파이프라인을 확장하고, 고부가가치 약물 개발에 집중할 계획입니다.
4. 매출 증대
- 씨젠의 제품군은 2023년 기준 약 22억 달러의 매출을 기록했으며, 향후 몇 년간 연평균 두 자릿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화이자는 씨젠 제품의 글로벌 유통 네트워크를 활용해 매출 극대화를 노릴 수 있습니다.
그럼 특허권 만료로 인한 수익 감소를 씨젠 인수를 통해 방어할 수 있을까?
1. 씨젠의 예상 매출 기여
씨젠의 현재 매출은 약 22억 달러(2023년 기준)이며, 연평균 두 자릿수 성장률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2030년까지 씨젠의 매출이 대폭 성장하더라도, 특허 만료로 인한 매출 감소의 전체 규모(170억 달러)를 메우기는 힘듭니다.
2. 장기적 성장성 확보
씨젠 인수는 항암제 분야에서 화이자의 시장 점유율을 확대하고, ADC(항체약물접합체) 기술을 활용한 혁신적 치료제 개발을 통해 장기적인 수익원을 창출할 기반을 마련합니다. 하지만 현재 특허 만료로 인한 급격한 매출 감소를 완전히 상쇄할 만큼의 단기 수익 기여는 부족합니다.
3. 추가 전략 필요
화이자는 씨젠 인수 외에도 신약 개발, 기존 제품의 적응증 확장, 신흥 시장 공략 등의 다각적인 전략을 통해 매출 감소를 보완하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화이자의 비만 치료제 사업 여부
비만 치료제는 현재 제약 업계에서 가장 핫한 분야 중 하나로, 노보 노디스크(Novo Nordisk)의 위고비(Wegovy)와 엘리 릴리(Eli Lilly)의 마운자로(Mounjaro)가 주도하는 시장입니다. 화이자는 아직 이 시장에서 두드러진 존재감을 보이지는 않지만, 일부 관련 활동이 진행 중입니다.
1. 현재 비만 치료제 파이프라인
화이자는 비만 치료제에 대한 뚜렷한 상업용 제품을 출시하지 않았습니다. 다만, 관련 연구를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졌으며, 최근 몇 년간 비만 치료와 관련된 GLP-1 수용체 작용제연구에 관심을 보이고 있습니다. GLP-1(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1) 기반 치료제는 비만 및 당뇨병 치료제의 주요 기전입니다.
2. 제휴와 협력 가능성
화이자는 독자적인 비만 치료제 개발보다는, 스타트업이나 바이오테크 기업과의 협력 또는 라이선스 계약을 통해 해당 시장에 진입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M&A 전략
화이자는 이미 씨젠과 같은 대형 인수를 통해 주요 성장 분야로 진입한 경험이 있으며, 비만 치료제 시장에서도 유사한 접근법을 채택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3. 비만 치료제 시장의 중요성
비만 치료제는 단기적으로 수익성이 높고 빠르게 성장하는 시장으로, 화이자가 놓칠 수 없는 기회로 평가됩니다. 시장 규모는 2023년 기준 약 130억 달러에서 2030년까지 약 500억 달러 이상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화이자가 적극적으로 관련 제품 개발이나 M&A에 나선다면, 해당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할 가능성이 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