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금인가? 채권인가? 안전성은?
요즘처럼 고금리 시대에는 예금 상품이 재테크 수단으로 매우 매력적인 선택지가 됩니다. 원금이 보장되면서도 높은 이자를 받을 수 있기 때문이죠. 특히 네이버에서 제공하는 ‘네이버페이 예·적금 비교’를 통해 국내 시중은행들의 예금 금리를 비교하는 것이 일반화되면서 많은 사람들이 더 나은 금리의 예금 상품을 찾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최근 IBK 기업은행의 ‘중금채’라는 상품이 눈에 띄면서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끌고 있습니다. 얼핏 보면 1금융권 은행에서 제공하는 예금 상품처럼 보이지만, 자세히 살펴보면 중금채는 ‘예금’이 아닌 ‘채권’ 상품입니다.
“어? 그럼 원금 보장이 안 되는 거 아니야?”
“예금자 보호도 안 되는 거야?”
“그렇다면 위험한 상품인가?”
이런 궁금증을 가지고 계실 분들을 위해 IBK 기업은행 중금채(중소기업금융채권)의 개념, 예금과의 차이점, 안전성 및 예금자 보호 여부 등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1. IBK 기업은행 중금채란? (중소기업금융채권의 개념)
✅ 중금채의 뜻
중금채란 ‘중소기업금융채권’의 줄임말로, IBK 기업은행(중소기업은행)이 발행하는 금융채권입니다.
이 채권은 중소기업에 대한 투자와 중장기 대출 재원을 마련하기 위해 정부가 1982년 8월 허용하였으며, 같은 해 8월 31일부터 발행되기 시작했습니다. 즉, 일반적인 예금과 달리 은행이 아닌 고객이 은행에 돈을 빌려주는 개념의 상품인 것이죠.
✅ 채권이란?
채권은 정부, 공공기관, 금융기관, 기업 등이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발행하는 차용증서입니다.
쉽게 말해 우리가 친구나 가족에게 돈을 빌릴 때 “언제까지 얼마를 갚겠다”라고 약속하는 차용증을 작성하는 것과 유사합니다. 은행이나 기업들도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투자자(개인, 기관)들에게 일정한 이율을 보장하는 조건으로 채권을 발행하는 것입니다.
채권의 종류는 발행 주체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분됩니다.
- 국채: 정부가 발행하는 채권 (예: 한국 국채)
- 지방채: 지방자치단체가 발행하는 채권
- 특수채: 공기업이나 특수법인이 발행하는 채권
- 금융채: 금융기관이 발행하는 채권
- 회사채: 일반 기업이 발행하는 채권
여기서 IBK 기업은행 중금채는 금융기관이 발행한 금융채에 해당합니다. 즉, 기업은행이 발행한 채권으로, 일반 투자자(개인, 기관)로부터 자금을 조달하는 방식이죠.

출처 : 네이버 파이낸셜
2. IBK 기업은행 중금채 vs 예금 상품 차이점
구분 | 중금채(중소기업금융채권) | 예금(정기예금, 적금) |
---|---|---|
성격 | 채권 투자 | 원금 보장 금융상품 |
원금 보장 | ❌ (채권 상품) | ✅ (예금자 보호법 적용) |
발행 주체 | IBK 기업은행 | IBK 기업은행 |
예금자 보호 | ❌ (예금자 보호법 미적용) | ✅ (예금보험공사 보호, 5천만 원 한도) |
금리 | 일반 예금보다 높음 | 상대적으로 낮음 |
유동성 | 만기 전 중도 해지 시 원금 손실 가능 | 중도 해지 시 이자 감소 |
법적 보호 | 중소기업은행법 적용 | 예금자보호법 적용 |
이처럼 중금채는 예금과 달리 예금자 보호법의 적용을 받지 않는 금융채권이라는 점이 가장 큰 차이점입니다.
3. IBK 기업은행 중금채의 안전성 (정부 보증 여부 & 신용등급)
그렇다면 중금채는 안전한 상품일까요?
✅ 예금자 보호법 적용 안 됨
중금채는 채권 상품이므로 예금자 보호법에 따라 예금보험공사의 보호를 받을 수 없습니다. 즉, 은행이 파산할 경우 원리금을 보호받지 못할 수 있습니다.
✅ 그렇다면 안전한 상품인가?
일반적으로 채권 상품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발행 기관의 신용도와 상환 능력입니다.
IBK 기업은행 중금채의 경우, 중소기업은행법에 의해 대한민국 정부가 관리하는 국책은행인 IBK 기업은행이 발행합니다.
📌 IBK 기업은행의 지배 구조를 보면?
- 대한민국 정부(기획재정부) 59.5%
- 한국산업은행 7.2%
- 한국수출입은행 1.84%
즉, 기업은행의 최대 주주는 대한민국 정부이며, 은행이 파산할 경우 정부가 손실을 보전할 수 있는 법적 근거가 있습니다.
📌 대한민국 정부가 직접 보증하는가?
중소기업은행법에 따르면, 정부는 중금채의 원리금 상환을 보증할 수 있다고 명시되어 있습니다.
이는 법적 의무는 아니지만, 정부가 최대 주주로 있는 기업은행이 도산할 가능성이 사실상 매우 낮으며, 문제가 발생할 경우 정부가 개입할 가능성이 높다는 점을 시사합니다.
📌 기업은행의 신용등급은?
- 무디스(Moody’s): Aa2 (대한민국 정부와 동일)
- S&P: AA (대한민국 정부와 동일)
- 한국신용평가: AAA (최고 등급)
즉, 기업은행의 신용등급은 대한민국 정부와 동일한 수준이기 때문에, 기업은행이 파산할 가능성은 극히 낮다고 볼 수 있습니다.
4. IBK 기업은행 중금채, 투자해도 될까?
✅ 장점
- 일반적인 예금보다 높은 금리 제공
- 대한민국 정부가 주요 주주이므로 신용도가 높음
- 중소기업은행법에 의해 정부 개입 가능성 존재
- 기업은행이 망하지 않는 한 원금 손실 가능성이 극히 낮음
❌ 단점 및 유의사항
- 예금자 보호법 적용 안 됨 (원금 보장 X)
- 중도 해지 시 원금 손실 가능성 존재
- 일반 예금과는 성격이 다르므로 투자 목적에 맞게 선택해야 함
IBK 기업은행 중금채는 예금인가, 채권인가?
✔ IBK 기업은행 중금채는 ‘채권’이다.
✔ 예금자 보호는 되지 않지만, 기업은행의 안전성으로 인해 사실상 높은 안정성을 가진 상품이다.
✔ 원금 손실 가능성은 이론적으로 존재하나, 현실적으로 대한민국 정부가 파산하지 않는 한 그럴 가능성은 극히 낮다.
따라서 IBK 기업은행 중금채는 예금자 보호가 없어도 정부 보증에 의해 안전성이 높은 금융 상품이라 할 수 있습니다. 💰✅
혹시나 해당 글의 내용이 잘못된 부분이 있으면 말씀 부탁드립니다. 좋은 정보로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