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와 금융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을 아는 것은 재테크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서도 필수적인 요소가 되었어요. 특히 20대라면 이제 막 사회에 진입하면서 금융을 제대로 이해하고 활용해야 할 시기죠.
그래서 오늘은 기본적이면서도 꼭 알아야 할 경제·금융 용어 25개를 정리해 보았어요. 이 개념들을 익혀두면 뉴스나 기사, 경제 관련 서적을 볼 때 훨씬 이해가 쉬워질 거예요!

1️⃣ 경제·금융 기초 개념
1. 가산금리
금융기관이 대출을 제공할 때 적용하는 추가 이율. 신용도가 낮을수록 가산금리가 높아져요.
2. 고정금리
일정한 기간 동안 변동 없이 유지되는 금리. 일반적으로 대출이나 예금 상품에서 적용돼요.
3. 공공재
누구나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재화나 서비스. 예를 들면 도로, 공원, 소방 서비스 등이 있어요.
4. 금본위제
국가의 화폐 가치가 금의 일정 무게로 고정되는 제도. 현재는 거의 사용되지 않아요.
5. 기축통화
국제 결제 및 금융 거래에서 기준이 되는 통화. 대표적으로 미국 달러(USD), 유로(EUR)가 있어요.
6. 기회비용
어떤 선택을 할 때 포기한 것의 가치. 예를 들어, 저축 대신 주식에 투자했다면 저축으로 얻을 수 있는 이자가 기회비용이 돼요.
7. 디플레이션
물가가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현상. 경제가 침체될 때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요.
8. 레버리지 효과
타인의 자본(대출)을 활용해 더 큰 수익을 창출하는 전략. 하지만 과도한 레버리지는 위험해요.
2️⃣ 금융 시장과 투자
9. KRX 금시장
한국거래소에서 운영하는 금 현물 거래 시장. 증권사에서 계좌를 개설하고 주식처럼 금을 사고팔 수 있어요.
10. ETF (상장지수펀드)
주식처럼 거래할 수 있는 펀드. 특정 지수나 자산의 움직임을 추종해요.
11. 펀드
여러 투자자로부터 모은 자금을 운용사가 관리하는 금융 상품.
12. 선물거래
미래의 특정 시점에 일정한 가격으로 매매하는 계약. 주로 원유, 금, 곡물 등이 거래돼요.
13. 옵션거래
특정 자산을 미래에 일정한 가격에 사고팔 수 있는 권리를 거래하는 것.
14. 공매도
주가 하락을 예상하고 주식을 빌려서 판 후, 나중에 더 낮은 가격에 사서 차익을 얻는 투자 기법.
3️⃣ 글로벌 경제 용어
15. 양적 완화 (QE, Quantitative Easing)
중앙은행이 시중에 돈을 직접 공급하여 경기 부양을 유도하는 정책.
16. 트리클다운 효과 (낙수 효과)
대기업이 성장하면 그 혜택이 중소기업과 소비자에게까지 퍼진다는 경제 이론.
17. 분수효과
저소득층의 소비 증가가 경제를 활성화하는 효과.
18. 디커플링 (Decoupling)
한 나라의 경제가 글로벌 경제 흐름과 독립적으로 움직이는 현상.
4️⃣ 금융 상품과 세금
19. CMA (어음관리계좌)
증권사에서 제공하는 입출금이 자유로운 계좌. 단 하루만 예치해도 이자가 붙어요.
20. 정크본드
신용등급이 낮은 기업이 발행한 고위험, 고수익 채권.
21. 헤지펀드
소수의 투자자 자금을 모집해 적극적으로 운용하는 펀드. 높은 수익을 추구하지만 리스크도 커요.
22. 매몰비용
한 번 지출하면 회수할 수 없는 비용. 예를 들어, 영화 티켓을 샀는데 재미가 없더라도 환불받을 수 없는 것.
5️⃣ 경제와 소비자 심리
23. 베블런 효과
가격이 오를수록 수요가 증가하는 현상. 예: 명품 브랜드 소비.
24. 빅맥지수
각국의 물가 수준을 비교하는 지표로, 맥도날드 빅맥의 가격을 기준으로 계산돼요.
25. 치킨 게임
경쟁자들이 극단적인 결정을 내리면 모두가 손해를 보는 상황. 예를 들어, 국가 간 무역전쟁.
오늘 정리한 25개의 경제·금융 용어는 우리가 일상에서 흔히 접하는 개념들이에요. 뉴스나 기사에서 자주 나오는 용어들을 이해하고 싶다면 꼭 숙지해 두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