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을 준비하면서 가장 먼저 드는 생각은 바로 “돈”입니다. 예식, 예물, 신혼집, 신혼여행… 끝도 없이 들어가는 돈에 고민이 많으셨죠?
하지만 여러분, 잘 찾아보면 정부와 지자체에서 신혼부부를 위한 결혼 지원금, 축하금 제도를 정말 많이 운영하고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오늘은 2025년 현재, 신혼부부가 받을 수 있는 전국 지자체별 결혼지원금을 지역별로 정리해봤습니다.
각 지자체별 링크도 함께 넣었으니, 내 상황에 맞는 지원을 빠르게 확인해보세요!

💡 먼저 확인하세요!
결혼지원금 신청 시 꼭 체크해야 할 3가지
혼인신고 후 일정 기간 이내에 신청해야 합니다. (보통 3개월~12개월 이내)
거주 요건이 있습니다. (해당 지자체에 최소 6개월~2년 이상 주민등록이 되어 있어야 함)
연령 또는 소득 제한이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특히 청년 대상 사업은 19~39세 제한 많음)
📍 서울특별시
지원금: 결혼살림비 100만 원 (1회)
대상: 2025.1.1. 이후 혼인신고한 신혼부부, 중위소득 150% 이하
확인 방법:
서울시 공식 포털 또는 “몽땅정보 만능키” 접속
‘신혼부부 결혼살림 지원’ 검색
안내 문서·자격요건·신청서 다운로드
온라인 또는 구청 직접 신청
📍 경기도
지원금: 청년 결혼지원금 100만 원
대상: 19~39세, 혼인신고 후 1년 이내, 연소득 8,000만 원 이하
확인 방법:
경기도 ‘청년·신혼부부’ 포털 접속
‘청년 결혼지원금’ 검색
신청 공고문·FAQ 확인
📍 인천광역시
지원금: 시·군 구역별 100만~300만 원
대상: 군·구별 혼인신고·전입 요건 상이
확인 방법:
인천시청 ‘복지’ 또는 ‘신혼부부’ 메뉴 접속
각 군·구 공고 문서 확인
📍 대전광역시
지원금: 최대 500만 원
대상: 18~39세, 대전 주소, 혼인신고 후 6개월 이상 거주
확인 방법:
대전청년포털 또는 결혼장려금 페이지 접속
신청요건, 구비서류 확인
전용 계좌 개설 후 온라인 또는 주민센터 신청
📍 충청북도 인구감소지역 (제천·보은·영동·괴산·단양)
지원금: 신혼부부당 100만 원
대상: 전입 + 혼인신고 1년 이내, 19~49세
확인 방법:
충북도청 인구정책 페이지 접속
‘인구감소지역 결혼지원금’ 공고 검색
📍 전라북도 (김제·순창·장수 등)
전북 일부 군에서는 신혼부부를 대상으로 최대 1,000만 원까지 결혼장려금을 지원합니다. 예를 들어 순창군은 200만 원 선지급 후, 4년간 나누어 지급하며 거주 요건이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김제시청 홈페이지, 순창군청 홈페이지, 장수군청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전라남도 (영암·영광·고흥·장성 등)
전남 지역 군 단위에서는 200만 원에서 최대 500만 원까지 신혼부부 지원금을 제공하며, 대부분 거주 요건과 혼인신고 조건이 포함됩니다.
각 군별 상세 내용은 고흥군청, 영암군청, 영광군청, 장성군청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 경상북도
경북도는 ‘작은 결혼식’을 장려하며 행사 비용으로 최대 300만 원을 지원하고, 별도 결혼축하금 150만 원도 추가로 제공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경상북도청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경상남도 (사천·산청·의령·창녕 등)
경남은 시군별로 차등 지원이 있으며, 사천시 100만 원, 산청군 400만 원, 의령군 150만 원, 창녕군 200만 원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지원 요건 및 신청 방법은 사천시청, 산청군청, 의령군청, 창녕군청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 강원 정선군
정선군은 신혼부부에게 총 500만 원의 결혼장려금을 5년에 걸쳐 분할 지급하고 있습니다.
지원 요건 및 신청은 정선군청 홈페이지를 참고하세요.
📍 강원 화천군
화천군은 혼인신고 후 일정 기간 내에 신청할 경우 150만 원을 일시 지급합니다.
신청 방법은 화천군청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도에서는 결혼지원금 300만 원과 함께, 다자녀 가구를 위한 항공료 할인 등 다양한 부가 혜택을 제공합니다.
자세한 지원내용은 제주도청 복지정책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정부 공통 혜택 안내
-
출산 후 사용할 수 있는 첫만남이용권 200만 원 바우처는 복지로 홈페이지에서 신청 가능합니다.
-
신혼부부 전세자금 이자지원은 주택도시기금 사이트에서 조건 확인 및 신청이 가능하며,
-
청년내일채움공제는 2년 근속 시 최대 1,200만 원을 지급하며, 신청은 청년내일채움공제 공식 페이지에서 진행할 수 있습니다.
✍️ 요약 정리
지역 | 금액(최대) | 특징 및 확인 방법 |
---|---|---|
서울 | 100만 원 | “몽땅정보 만능키”에서 바로 신청 가능 |
경기도 | 100만 원 | 포털에서 ‘청년 결혼지원금’ 키워드 확인 |
인천 | 100~300만 원 | 군·구별로 공고문 확인 필수 |
대전 | 500만 원 | 전용 계좌 개설 후 온라인 신청 |
충북 인구감소지역 | 100만 원 | 충북도 인구정책 페이지에서 문서 다운로드 |
전북·전남 군 단위 | 200~1,000만 원 | 각 군청 홈페이지 내 상세 안내 있음 |
경북 | 450만 원 | 경북도청에서 작은 결혼식 안내 포함 |
경남 | 100~400만 원 | 군청별 공고문 확인 필요 |
정선·화천·제주 | 150~500만 원 | 각 지자체 공식 페이지에서 확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