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입국 시 세관신고와 금지 품목, 주의사항

미국 여행을 계획하고 있다면 비자나 ESTA 신청만큼이나 중요한 것이 바로 입국 시 세관신고(Customs Declaration)입니다.
특히 미국은 입국 심사가 까다롭기로 유명하며, 신고하지 않은 품목이나 허용되지 않는 물품을 소지한 경우 입국 거부, 벌금, 물품 압수 등 예상치 못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2025년 현재 기준으로, 미국 세관신고 시 유의할 점, 금지 및 제한 품목, 미국 CBP의 심사 절차영어 신고서 작성 팁까지 정리해드립니다.
미국 입국 전에 한 번만 읽어두면 공항에서 훨씬 더 안심할 수 있습니다.

 

미국 입국 세관신고

 

 

미국 입국 시 세관신고란?

미국에 입국하는 모든 승객은 국적에 관계없이 세관신고 의무를 갖습니다. 신고 대상이 없어도 빈 신고서라도 반드시 제출해야 하며, 항공사에서 기내에서 종이 신고서를 배포하거나, 전자 세관신고 키오스크(APC 또는 MPC 앱)를 통해 입력하는 방식도 도입되고 있습니다.

주요 신고 항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 식품 및 농산물 소지 여부


  • 동물성/식물성 물품 또는 흙 관련 제품 소지 여부


  • 총 자산 금액 10,000달러 초과 시


  • 상업용 제품, 선물용 제품 소지 여부


  • 외국에서 구입한 물건의 총액


신고 대상이 되는 품목이 없더라도, 본인이 직접 모든 질문에 답하고 서명해야 합니다. 허위 작성은 처벌 대상이므로 절대 대충 작성해서는 안 됩니다.

 

신고 대상 품목과 금지 품목의 차이

미국 입국 시 주의해야 할 것은 ‘무조건 반입이 안 되는 금지 품목’과 ‘신고 후 반입은 가능한 품목’이 있다는 점입니다.

신고 후 반입 가능한 품목 (조건부 허용)

  • 식품류 중 포장된 과자, 초콜릿, 캔음식 등


  • 가공된 차류, 커피, 분말 음료


  • 기념품용 의류, 액세서리


  • 2세 이하의 유아용 분유, 이유식 (원래 포장 유지 시)


이런 품목은 반드시 신고만 하면 반입이 가능합니다. 신고하지 않으면 압수 대상이 됩니다.

반입이 금지된 품목

  • 육류 및 육가공품 (육포, 소시지, 햄 등 포함)


  • 신선한 과일과 채소 (사과, 바나나, 귤 등도 포함)


  • 식물, 씨앗, 흙이 묻은 뿌리 등


  • 한약재, 말린 약초 등


  • 계란 및 난가공식품


  • 불법 약물, 대마 성분 제품, CBD 오일


  • 무허가 동물 또는 동물 유래 제품


한국에서 흔히 선물용으로 가져가는 육포, 약과, 젓갈류, 고추장 섞인 음식 등이 모두 문제될 수 있으니 절대 가져가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세관 신고서 작성 시 체크리스트

기내에서 배포되는 미국 세관신고서(6059B Form)는 영어로 되어 있으며, 아래 항목들을 중심으로 체크합니다.

  1. 동반 가족 수: 한 가족이 함께 입국하는 경우 대표자 한 명만 작성


  2. 비행편 번호: 항공권 확인


  3. 미국 내 체류 주소: 호텔 주소, 친구집 주소, 도시명도 가능


  4. 소지품 내 식품 여부: 과자도 있다고 하면 ‘Yes’로 체크, 구체적으로 설명


  5. 세관 신고 물품 여부: 외국에서 산 물품 중 총액이 800달러 초과하면 체크 필요


  6. 현금 10,000달러 초과 여부: 초과 시 무조건 신고 (압수 또는 벌금 가능)


주의할 점은 ‘아무것도 아니다’라고 생각하고 No로 체크하는 습관입니다.
예를 들어, 한국에서 선물용으로 가져간 김과자나 꿀차, 약과, 인삼정이 문제될 수 있으므로 조금이라도 의심되면 ‘Yes’에 체크하고 설명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공항 입국 심사와 세관 검사의 실제 흐름

미국 공항 도착 후의 절차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진행됩니다.

  1. 입국심사 (Immigration)

    • 여권, 비자(또는 ESTA), 입국 목적 질문 등


    • 기계로 여권 스캔 + 사진 촬영, 경우에 따라 인터뷰


  2. 수하물 수령


  3. 세관심사 (Customs)

    • 신고서 제출


    • 의심 물품 있을 경우 세관 직원과 대면 검사


    • 세관 직원이 수하물 엑스레이를 요청할 수 있음


    • 현장에서 개봉 검사하거나, 개별로 이송해 추가 검사하는 경우도 있음


최근에는 전자 세관신고(Mobile Passport Control)를 통해 줄을 서지 않고 빠르게 입국할 수 있는 공항도 늘고 있습니다. 단, 사전 앱 설치 및 여권 정보 등록이 필요합니다.

 

세관 심사 시 자주 묻는 질문과 대처법

  • Are you carrying any food?
    → “Yes. Only snacks like cookies and chips.”
    (식품은 있다고 대답하되, 가공된 간식류임을 명확히 설명)


  • Did you bring any gifts or merchandise?
    → “Yes. Small gifts under 100 dollars.”
    (총 금액이 낮고 개인적인 선물이라는 점 강조)


  • Do you have anything to declare?
    → “Yes, I have some Korean tea and snacks.”
    (신고 의사가 있다는 점을 미리 밝히는 것이 안전)


  • Are you carrying more than $10,000 in cash?
    → “No.” 또는 “Yes, and I’d like to declare it.”
    (10,000달러 초과 시 반드시 신고해야 벌금 피할 수 있음)


위 질문은 대부분 기본적인 것이며, 너무 긴장하지 않아도 됩니다. 자신 있게 대답하고, 필요하면 물품을 직접 보여주는 게 오히려 수월합니다.

 

세관신고 회피 시 발생할 수 있는 불이익

미국 입국 시 세관 규정을 위반하면 다음과 같은 처벌이 따를 수 있습니다.

  • 물품 즉시 압수 및 폐기


  • 최대 500달러 이상의 벌금 부과


  • 입국 지연 또는 입국 거부


  • ESTA 또는 비자 무효화, 추후 입국 제한


특히 육포나 과일, 씨앗 등 생물 관련 물품은 검사 기준이 매우 엄격합니다. 개인적인 용도라고 해도 ‘신고하지 않은 것’ 자체가 문제이므로, 가급적 아예 소지하지 않는 것이 안전합니다.

 

미국 입국 전 사전 준비사항 정리

  1. 입국 신고서(전자 또는 종이) 정확히 작성할 것


  2. 식품, 약품, 선물류는 사전 신고 대상인지 확인


  3. 여행 일정표나 숙소 정보는 입국심사 시 보여줄 수 있게 준비


  4. 10,000달러 초과 현금은 무조건 신고


  5. 위험하거나 논란의 여지 있는 물품은 가져가지 않는 게 최선


미국 세관의 심사는 까다롭고 예외가 없기로 유명하지만, 정확히 신고하고 정직하게 대답하면 문제 될 일은 없습니다. 신고 대상이 될 수 있는지 불확실한 물품이 있다면, 과감히 ‘Yes’를 체크하고 설명하는 것이 오히려 빠르고 안전한 방법입니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